본문 바로가기

수학사전/자21

제곱근 제곱해서 어떤 수가 되는 수를 어떤 수의 제곱근이라고 한다. 즉, $x^2=a$인 수 $x$를 $a$의 제곱근이라고 한다. 제곱근은 근호(root) $\sqrt{\quad}$를 써서 나타낸다. $a>0$일 때, 제곱근은 양수와 음수 하나씩 2개가 있다. $a$의 양의 제곱근은 $\sqrt{a}$, $a$의 음의 제곱근은 $-\sqrt{a}$로 적는다. $\sqrt{a}$는 '제곱근 $a$' 또는 '루트 $a$', $-\sqrt{a}$는 '음의 제곱근 $a$' 또는 '마이너스 루트 $a$'로 읽는다. 2024. 3. 18.
조건과 진리집합 조건(condition)은 포함된 미지수의 값에 따라 참과 거짓이 결정되는 문장이나 식이다. 명제: 3은 소수이다. 조건: x는 소수이다. 조건은 보통 $p,\;q,\;\cdots$와 같이 소문자로 쓴다. 한편, 조건을 참으로 만드는 미지수의 집합은 진리집합(truth set)이다. 진리집합은 $P,\;Q,\;\cdots$와 같이 대문자로 쓴다. 위에 있는 조건 'p: x는 소수이다.'의 진리집합은 $P=\{2,3,5,7,\cdots\}$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논리학에서는 $p\rightarrow q$와 같이 두 조건으로 이루어진 조건명제를 주로 다룬다. 이때, p는 가정이고 q는 결론이다. 두 조건 $p,q$의 진리집합을 각각 $P,Q$라고 한다면 $P\subset Q$일 때, 명제 $p\right.. 2024. 1. 28.
진동수 진동수(frequency)는 주기적인 현상이 단위시간 동안 몇 번 일어났는지를 나타내는 수. 주파수(周波數)라고도 한다. SI단위로는 헤르츠(Hz)를 쓴다. 2022. 12. 19.
주기 주어진 함수 $f$에서 임의의 $x$에 대하여 아래를 만족하는 최소 양수 $p$를 주기(period)라고 한다. $$f(x+p)=f(x)$$ 2022. 12. 19.
진폭 평균이나 기본 값에서 변화하는 양의 최대 거리 또는 진자 운동과 같은 주기 함수에서 최고점과 최저점 사이의 거리의 절반. 아래와 같은 진동을 나타내는 함수에서 A가 진폭(amplitude)이다. $$\displaystyle {x=A\sin(\omega [t-K])+b}$$ https://en.wikipedia.org/wiki/Amplitude Amplitude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Measure of change in a periodic variable The amplitude of a periodic variable is a measure of its change in a s.. 2022. 12. 19.
조건수렴 어떤 급수가 각 항에 절댓값을 취하였을 때 수렴하면 절대수렴한다고 한다. $\displaystyle{\sum _{n=1}^{\infty}|a_n|}$이 수렴하면 $\displaystyle{\sum _{n=1}^{\infty}a_n}$도 수렴하는데 이것을 절대수렴이라고 한다. 한편 $\displaystyle{\sum _{n=1}^{\infty}a_n}$도 수렴하지만 $\displaystyle{\sum _{n=1}^{\infty}|a_n|}$은 발산한다면 조건수렴(conditional convergence)이라고 한다. https://en.wikipedia.org/wiki/Absolute_convergence Absolute convergence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 2022. 12. 18.
절대수렴 어떤 급수가 각 항에 절댓값을 취한 급수가 수렴하면 절대수렴(absolute convergence)한다고 한다. $\displaystyle{\sum _{n=1}^{\infty}|a_n|}$이 수렴하면 $\displaystyle{\sum _{n=1}^{\infty}a_n}$도 수렴하는데 이것을 절대수렴이라고 한다. 한편 $\displaystyle{\sum _{n=1}^{\infty}a_n}$도 수렴하지만 $\displaystyle{\sum _{n=1}^{\infty}|a_n|}$은 발산한다면 조건수렴(conditional convergence)이라고 한다. https://en.wikipedia.org/wiki/Absolute_convergence Absolute convergence - Wikipedia .. 2022. 12. 18.
작도 작도(construction)는 고대 그리스에서 기하학에서 시작된 눈금이 없는 자와 컴퍼스만을 사용하여 도형을 그리는 일. 유클리드 원론은 작도 교과서라고 할 수 있다. https://suhak.tistory.com/153 원론(Euclid's Elements) 1권 우연히 알게 된 'Euclid's Elements'에서 옮겨다 놓고 하나씩 우리말로 옮겨볼까 생각하고 있다. 연결된 사이트에서 그림을 보기 위해서는 자바(java) 프로그램 구성에서 보안 설정을 바꿔 주어야 한다 suhak.tistory.com 2022. 12. 14.
절댓값 절댓값(absolute value)은 원점으로부터 주어진 점까지 거리이다. 실수 $x$의 절댓값은 기호로 $|x|$로 적는다. 수직선 위의 점 $x$까지 거리는 아래와 같다. $$|x|= \cases {x \;\;\;\;\; (\;x \;\geq\; 0\;)\\-x\;\;(\;x \;< \;0\;)}$$ 마찬가지로 복소수 $z=x+yi$ 의 절댓값도 정의한다. 원점으로부터 점 $(x,y)$까지의 거리는 아래와 같다. $$|z|=\sqrt{x^2 +y^2}$$ 2022. 12. 14.
정다면체 정다면체(regular polyhedron)는 모든 면이 합동인 정다각형으로 이루어진 다면체. 정사면체, 정육면체, 정팔면체, 정십이면체, 정이십면체가 있다. https://suhak.tistory.com/96 정다면체는 오로지 다섯뿐이다. 정다면체는 오로지 다섯뿐이다. 혹시 또 다른 것이 있지 않을까 찾지는 마시라. 아주 오래 오래 전에 유클리드 선생님 다섯뿐임을 증명을 하셨다. 위키백과 영어로는 플라토닉 솔리드(Platonic soli suhak.tistory.com 2022. 12. 14.
짝수 함수 짝수 함수(even function)는 임의의 $x$에 대하여 $f(x)=f(-x)$를 만족하는 함수로 그래프가 $y$축에 대칭이다. 예 $y=x^2$, $y=x^4$, $y=\cos x$ 2022. 12. 14.
정비례 두 변수 $x,\;\;y$에 대하여 $x$의 값이 2배, 3배, 4배, $\cdots$로 변함에 따라 $y$의 값도 2배, 3배, 4배, $\cdots$로 변할 때, $y$는 $x$에 정비례(direct propotion)한다고 한다. 두 변수 $x,\;\;y$에 대하여 $x$의 값이 2배, 3배, 4배, $\cdots$로 변함에 따라 $y$의 값이 $\displaystyle{\frac{1}{2}}$배, $\displaystyle{\frac{1}{3}}$배, $\displaystyle{\frac{1}{4}}$배, $\cdots$로 변할 때, $y$는 $x$에 반비례한다고 한다. 말로하면 어렵다. 식으로 나타내야 오해가 덜 생긴다. 먼저 비례는 두 변수 $x$와 $y$의 비가 상수인 것이다. 상수는 다른 .. 2022. 12. 10.
정적분 구간 `[a,b]`에서 연속인 함수 `y=f(x)`에서 구간 `[a,b]`을 `n`등분하는 점 `x_k`들은 공차가 $\displaystyle{\frac{b-a}{n}}$등차수열을 이룬다. $$x_k=a+\frac{b-a}{n}\cdot k$$ 이때 각 점에서의 함숫값 $f(x_k )$과 공차 $\displaystyle{\Delta x = \frac{b-a}{n}}$의 곱을 더한 값 $$\sum_{k=1}^{n}f(x_k ) \Delta x$$은 수렴한다. 이 극한값 $$\lim_{n\rightarrow \infty} \sum_{k=1}^{n}f(x_k ) Δx$$을 $a$에서 $b$까지의 정적분(definite integral) $\displaystyle{\int_{a}^{b} f(x)dx}$으로 정의.. 2022. 12. 10.
정수 정수(integer)는 양의 정수, 0, 음의 정수로 이루어진 수 체계다. 정수를 한자로 쓰면 가지런한 수(整數)이다. 양의 정수는 자연수와 같다. 영어로는 integer이지만 독일어로 정수인 Zahl의 머리글자를 따서 $\mathbb{Z}$로 적는다. 인도와 중국 그리고 아랍에서는 일찌감치 음수를 수로 받아들였지만 유럽에서 수로 받아들이는데 상당한 세월이 필요했다. 데카르트가 음수를 좌표에 나타내기 시작하면서 수로 자리 잡았다. 2022. 12. 8.
자연수 자연수(natural number)는 개수를 셀 때 사용하는 수이다. 이름 그대로 원래부터 스스로 존재하는 수라고 생각하면 쉽다. 하지만 현대 수학은 자연수도 그대로 놓아두지 않는다. 페아노(Giuseppe Peano: 1858.8.27.~1932.4.20.)는 아래와 같은 공리(Peano's axioms)로써 자연수를 정의하였다. 아래를 모두 만족하는 집합 $\mathbb{N}$은 자연수의 집합이다. $\mathbb{N}$은 특별한 한 원소인 $1$을 원소로 가진다. ($1\in \mathbb{N}$) $\mathbb{N}$의 임의의 원소 $n$에 대하여 $n$의 다음수(successor) $n^+$도 $\mathbb{N}$의 원소다. ($\forall n\in \mathbb{N}\Rightarrow .. 2022. 12. 8.